일상생활에 편리한 생활 필수품으로서 없어서는 안될 전기 제품도 취급하는 사람의 사소한 부주의로 인하여 많은 화재를 일으키고 그 피해 역시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으므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발생원인
- 합선(단락)에 의한 발화 : 전선의 피복이 손상되거나 잘연저항이 파괴되어 앙극선과 음극선이 접촉되어 불이 붙는 현상
- 과전류(과부하)에 의한 발화 : 하나의 콘센트에 여러 개의 전기기구(에어컨, 전기다리미, 전자레인지, 동력 등)를 통시에 사용하거나 규격이하의 전선을 사용할 경우 전선에 열이 발생하여 불이 붙는 현상
- 누전에 의한 발화 : 전선이나 전기기구의 절연이 불완전하여 전류의 일부가 누설되고 누설전류에 의한 저항열이 축적되어 불이 붙는 현상
- 기타 원인에 의한 발화 : 전선과 전기기기 간의 접속 불량, 전선피복의 절연열화, 낙뢰 등으로 불이 붙는 현상
예방요령
![[그림1]](http://119.busan.go.kr/img/07/02_01_img01.gif)
![[그림2]](http://119.busan.go.kr/img/07/02_01_img02.gif)
![[그림3]](http://119.busan.go.kr/img/07/02_01_img03.gif)
![[그림4]](http://119.busan.go.kr/img/07/02_01_img04.gif)
![[그림5]](http://119.busan.go.kr/img/07/02_01_img05.gif)
![[그림6]](http://119.busan.go.kr/img/07/02_01_img06.gif)
![[그림7]](http://119.busan.go.kr/img/07/02_01_img07.gif)
![[그림8]](http://119.busan.go.kr/img/07/02_01_img08.gif)
![[그림9]](http://119.busan.go.kr/img/07/02_01_img09.gif)
![[그림10]](http://119.busan.go.kr/img/07/02_01_img10.gif)
![[그림11]](http://119.busan.go.kr/img/07/02_01_img11.gif)
![[그림12]](http://119.busan.go.kr/img/07/02_01_img12.gif)
전기용품 사용시 주의사항
![[그림1]](http://119.busan.go.kr/img/07/02_01_img13.gif)
![[그림2]](http://119.busan.go.kr/img/07/02_01_img14.gif)
![[그림3]](http://119.busan.go.kr/img/07/02_01_img15.gif)
![[그림4]](http://119.busan.go.kr/img/07/02_01_img16.gif)
![[그림5]](http://119.busan.go.kr/img/07/02_01_img17.gif)
'ETC > Health Promo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ck exercise #1 (0) | 2011.08.25 |
---|---|
스프라이트, 코카-콜라 (0) | 2011.08.24 |
화재대비 행동체계 의식전환 (0) | 2011.08.22 |
산소 결핍증 (0) | 2011.08.22 |
<두충 차> 나뭇잎의 끈적끈적한이 활성 산소를 제거, 몸 안에서 건강하게 (0) | 2011.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