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현상이란... | |
황사(Yellow Sand, 黃砂; Asian dust)란 주로 중국 북부의 황토지대에서 바람에 의하여 하늘 높이 불어 올라간 무수히 미세한 모래 먼지가 대기 중에 퍼져서 하늘을 덮었다가 서서히 내려오는 모래 먼지이다. '노란 모래'의 뜻은 황사란 용어보다는 세계적으로 '아시아 먼지'로 알려져 있다. 사막지역에서는 이와 유사한 현상들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데 아프리카 대륙 북부의 사하라 사막에서 발원하는 것은 '사하라먼지'로 부른다고 한다. 중국은 유라시아 대륙의 중부에 있어 서고 동저의 지형 특성을 갖으며, 다양한 기후가 존재한다. 자연 지리면에서 동부 계절풍 지역, 서부 건조 지역과 한랭 지역의 발원지로 불려지고 있다. 중국의 서북 건조 지역은 유라시아 대륙의 중심부이다. 해양과 멀리 떨어져 있어 건조하며 강수량은 적다. 중국의 연 강수량과 중국 대륙의 사막 분포를 보면 이 지역의 연평균 강수량은 보통 400m이하이고 중국의 사막 대부분이 이곳에 위치한다. 타클라마칸 사막은 타림분지의 중서부에 있으며, 중국 최대의 사막이다. 동서로 1000km, 남북으로 400km의 폭으로 면적이 330.000km2이나 되고, 중국 사막 총 면적의 52%를 차지한다. 사막의 유동 모래언덕은 남북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모래언덕의 고도는 보통 100∼150m이며 200∼300m가 되는 것도 있다. 타클라마칸 사막의 동북 방향에 고비사막이 있다. 이것도 중국의 최고 건조 지역 중 하나로 동서로 250km, 남북으로 100km로 면적이 60,000km에 가깝다. 해발고도는 1000∼1500m이나 지표면은 고비 구릉이 많고, 모래 언덕이 있다. 이곳의 기후는 연 강수량이 30mm 밖에 안되고, 바람은 강하다. 바다인자란 사막은 중국에서 세 번째로 큰 사막으로 내몽고 자치구의 서쪽에 있다. 면적은 44.300km2 , 해발고도는 1300∼1800m 이다. 기후는 물론 건조하며 연 강수량도 50∼150mm 밖에 안된다. 유동 모래언덕이 총면적의 80% 이상을 차지한다. 모래언덕의 고도는 보통 200∼300m 이나 400m에 달하는 것도 있다. 중국에서 가장 높은 모래언덕이 있는 사막이다. 중국에서 네 번째로 큰 텐켈 사막은 내몽고 서남부에 있다. 면적은 40.000km2, 해발고도는 1400∼1600m이다. 모래언덕의 면적이 총 면적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보통 동남쪽으로 이동한다. 이상이 중국에 있는 황사와 관련이 있는 건조 지대의 특징이며 거의 대부분이 황사가 이곳 건조 사막을 기원으로 한다. 황사의 근대 기상용어로 말하면 먼지폭풍, 모래폭풍이라고도 불린다. 황사현상은 봄철 중국과 몽고의 사막지대, 황하, 화북지방 등 황토지대에서 저기압이 통과할 때 다량의 누런 먼지가 강한 바람에 의해 상층으로 올라가 공중에 떠 있다가 장거리 이동시 서서히 낙하하면서 생기는 시정장애를 말한다. 황사는 발원지에서 배출되는 황사량을 100%라고 할 때 보통 30%는 발원지에 재침적되고 20%는 주변지역으로 수송되며, 50%는 장거리 수송되어 한국, 일본, 태평양 등에 침적이 된다. 황사생성의 원인.. ![]() 황사현상의 피해... ![]() 황사 피해를 줄이는 법 황사비는 맞지 않는 것이 좋다. 황사가 끼는 날은 되도록 외출을 삼가고, 창문을 반드시 닫아 놓고, 세탁물은 밖에다 널어놓지 않도록 합니다. 외출에서 돌아왔을 때는 반드시 손을 씻고, 입과 코안, 목안도 맑은 물로 헹구세요! 호흡기가 약한 사람은 외출을 삼가고 마스크나 보호안경을 사용하세요~ |
'ETC > Health Promo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기에게 물리셨다고요? (0) | 2011.09.12 |
---|---|
아령(dumbell)로 할 수 있는 운동. (0) | 2011.09.11 |
기관지 천식 (0) | 2011.09.08 |
강한 운동을하면 구역질? (0) | 2011.09.06 |
질, 외음부(인용글 출처:위키백과 등) (0) | 2011.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