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컴퓨터 작업이 많은 현대의 직장인과 팔을 많이 사용하는 근로자, 그리고 장시간 같은 자세로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많이 나타나는 질환이 굽은 등(Round back, swayback)이다. 우리 몸의 정상적인 척추를 옆에서 보았을 때 목뼈와 허리뼈는 앞으로 C자형태의 전만곡 라인을 보이며 등뼈와 엉덩이뼈는 역C자형태의 후만곡 라인을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정상적인 척추의 라인에서 등뼈와 허리뼈의 후만곡 라인이 유난히 증가되어 보일 때 이를 척추후만증, 즉 굽은 등이라고 말한다. 이러한 굽은 등 자세는 미용상으로 보기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시간이 지날수록 만성 목· 어깨·등 통증, 두통(편두통)을 유발하며 요추 및 골반 불균형으로 인한 허리·골반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심한 경우 디스크 질환과 비슷한 목, 팔, 다리 저림 증상까지 나타날 수 있다. 굽은 등은 단순히 등의 문제 뿐 아니라 일자목·거북목 등의 변형으로 이어지며 이러한 변형은 체형 불균형, 호흡근육의 압박으로 인한 여러 호흡기계 질환 등이 나타날 수 있어 반드시 치료가 필요하다.
우선, 자세검사에서 보여지는 인체는 일반적으로 귀, 목 중심, 어깨의 견봉, 흉부의 중심과 고관절을 지나가는데 굽은 등은 그 이상적 중심라인보다 머리와 상체가 앞쪽에 위치하는 자세 불균형이 나타난다.
<바른자세(가장오른쪽)와 비정상적인 자세> 또 둥근 등을 가진 환자는 감소된 골반경사(<30°)와 흉요추후만증과 함께 길고 둥근 곡선을 가지고 있고, 종종 체간부가 전방으로 굴곡되며 요추곡선의 감소를 나타낸다. 그리고 근육의 길이·근력의 검사시 약한 고관절 굴곡근과 요추신전과 함께 긴장된 고관절신전근과 체간부굴곡근이 나타난다. 이러한 근육간의 불균형은 근육에 둘러싸인 관절에 무리를 주게되어 통증이 발생하게 되므로, 전문적인 기관에서 검사를 받고 자세 교정치료와 운동을 통해 긴장되고 단축된 근육을 스트레칭하고 약한 근육을 강하게 단련시킴으로써 근육간의 균형과 정상적 자세 정렬을 회복시켜야 한다. 굽은등을 교정하는 운동법 |
|
'ETC > Health Promo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척주전만증 (0) | 2011.10.28 |
---|---|
새우등 (0) | 2011.10.28 |
[싸이코패스]코다이라 사건 (0) | 2011.10.27 |
[싸이코패스]헨리 리 루카스 (0) | 2011.10.27 |
[싸이코패스]존 게이시 (0) | 2011.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