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12. 22. 20:05
태음조위탕 [太陰調胃湯]

 
태음~:의이인12g말린밤12g,내복자8g,오미자,맥문동,석창포,도라지,마황각4g끓여복용한다.
    
②마황조위탕(麻黃調胃湯):태음인의해수(기침)를치료하는데쓴다.처방은태음조위탕에마황12g을더한다.
 
③고기조위탕(固氣調胃湯):태음인의설사를치료하는데쓴다.처방은태음조위탕에저근백피(樗根白皮)8g을더한다.
 
④승지조위탕(升芷調胃湯):태음인의땀이나지않는증상을치료하는데쓴다.처방은태음조위탕에승마(升麻)·백지(白芷)를더한다.

 

적응증

 

태음인(太陰人)의 황달, 상한(傷寒), 시기두통(時氣頭痛), 몸이 쑤시고 아프나 땀은 나지 않고, 음식이 체하여 더부룩하고, 막힌감이 있고, 다리와 무릎에 힘이 없고, 기운이 없는 증세 등을 보일 때 쓰인다. 

 

 

처방약재

 

의이인(薏苡仁), 말린 밤 각 12g, 내복자(萊箙子) 8g, 오미자, 맥문동(麥門冬), 석창포(石菖蒲), 길경(桔梗:도라지), 마황(麻黃) 각 4g을 끓여 복용한다. 

음탈(陰脫)에는 용골(龍骨), 아교(阿膠), 녹각교(鹿角膠)를 더한다. 

산후복통에는 연자육(連子肉), 포황(蒲黃)을 더한다. 

 

 

부방에는, 

① 화석조위탕(花惜調胃湯):태음인 여성의 음탈을 치료한다. 처방은 태음조위탕에 민어교(民魚膠) 또는 민어폐(民魚肺)를 더한다. 

 

② 마황조위탕(麻黃調胃湯):태음인의 해수(기침)를 치료하는 데 쓴다. 처방은 태음조위탕에 마황 12g을 더한다. 

 

③ 고기조위탕(固氣調胃湯):태음인의 설사를 치료하는 데 쓴다. 처방은 태음조위탕에 저근백피(樗根白皮) 8g을 더한다. 

 

④ 승지조위탕(升芷調胃湯):태음인의 땀이 나지 않는 증상을 치료하는 데 쓴다. 처방은 태음조위탕에 승마(升麻) ·백지(白芷)를 더한다. 

'ETC > inde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종에 좋은 죽, 두충주(란  (0) 2011.12.23
공진단 육공단  (0) 2011.12.23
열성태음인 한성태음인  (0) 2011.12.22
태음조위탕  (0) 2011.12.22
한방요약_신준식  (0) 2011.12.22
Posted by 위키백